
의료계 집단행동으로 인해서 의사들이 전면 파업하면서 응급실을 가도 진료 봐줄 의사가 없어 병원끼리도 환자를 서로 미루는 상황에 빠졌었다는 말을 듣고 놀랐습니다. 저도 아이의 아빠가 된 지 어느덧 200일 지났는데 최근 아이가 첫 감기가 걸려서 새벽에 더 아프지 않을까 마음 졸이면서 빨리 감기가 낫기를 기도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저와 같은 상황에 빠진 부모님 또는 환자분들을 위해 정부에서 제공하는 비상진료(응급) 병의원을 찾을 수 있는 사이트를 알려드리려 합니다. ✳️비상 진료 기간 중 병의원 이용안내 비상진료에 따른 병의원을 이용하는 방법은 경증환자는 지역 병의원으로 가야 하고, 중증환자는 상급종합병원으로 가셔야 야합니다. 경증환자가 상급종합병원으로 가실 경우 돌려보내지실 수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그러므..

전공의 병원 근무 중단으로 의료대란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정부가 사상 처음 보건의료 '위기' 단계를 '심각'으로 상향하고 비대면 진료를 전면 허용(의사 집단행동 종료 때까지)하였습니다. 정부는 의료 공백을 줄이기 위해서 2024년 2월 23일부터 모든 국민을 대상으로 비대면 진료를 할 수 있게 됐고 시스템 구축 등에 시간이 걸려 병원 별로 시행시기는 달라질 수 있다고도 말했습니다. 그럼 비대면 진료는 무엇이고 비대면 진료를 어떻게 진행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비대면 진료란? 의사가 환자를 직접 만나지 않고 전화(영상통화포함) 또는 컴퓨터 화상통화를 통해 의사에게 영상으로 진찰 및 상담 후 약을 처방받을 수 있는 서비스를 말합니다. 코로나 때에도 한번 시행된 적이 있는데 이번 의사 집단행동을..